본문 바로가기
IT

메타크리틱이란?

by 우하! 2023. 2. 9.
반응형

게임이나 영상물을 좋아하시는분들은 많이 들어보셨을텐데요. 메타크리틱 점수가 몇점인지 엄청 떠들어 대곤합니다. 과연 메타크리틱이 뭐길래 사람들이 이렇게 관심가지고 지켜보는걸까요?

 

역사

2001년부터 서비스를 개시한 메타크리틱은 영화, TV, 음악, 게임을 100점만점으로 평가한 사이트에요. 하지만 단순히 숫자만 표기하는것이 아니라 평론가의 의견도 같이 덧붙여있어 더욱 의미가 커요.

 

점수

크게는 3가지로 나뉘고 세부적으로는 5개의 카테고리로 나뉘는데 아래표로 정리해봤어요. 

평가 기준 게임 영화, 음악
Universal acclaim
(대부분의 극찬)
90~100 81~100
Generally favorable reviews
(전반적인 호평)
75~89 61~80
Mixed or average reviews
(호불호 갈리거나 보통)
50~74 40~60
Generally unfavorable reviews
(전반적인 혹평)
20~49 20~39
Overwhelming dislike
(압도적인 저평가)
0~19

여기 점수들을 보고 정말 명작과 망작을 알아볼수있겠죠? 저는 게임을 좋아하기때문에 게임 카테고리에서 많이 참고를 하는데요. 90점 전후로 명작이라는 평가를 받고 75점 부터는 꽤 괜찮다는 평가를 받아요. 하지만 중요한것은 평론가와 유저점수의 차이인데요. 평론가들은 점수를 높게 줬지만 유저들이 낮게 평가한경우도 많아요. 그래서 내가 좋아하거나 하고자하는 게임을 찾아볼때는 점수차이를 한번 보셔야 해요.

 

영화 카테고리에서는 로튼토마토와 권위가 비슷하기때문에 교차로 확인해보시면 더욱 좋아요. 하지만 차이점은 로튼토마토는 영화와 TV 를 위주로 다루는데 메타크리틱은 장르가 다양하다는게 있어요. 또 신문이나 잡지, 인터넷에 올라온 리뷰만 취급해서 리뷰의 수는 작지만 매체 평론이 공신력을 가진다고 볼수있어요.

 

장점, 단점

3개의 색으로 쉽게 좋은 평을 받았는지 나쁜평을 받았는지 확인할수있어요. 또 전문리뷰어 뿐만 아니라 유저들의 의견을 들어볼수있는 점이 장점이에요.

하지만 단점으로는 결국 점수도 평균이기때문에 0점과 100점을 주면 50점짜리가 되어버리는 문제가 있어요. 

반응형

댓글